<영문학 (English Literature Orbit) 1강 - 미국시>


영미시입문 강의를 들으며 배운 내용들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작성하는 주관적인 의견 및 작품 해설 정리입니다. 


가장 먼저 미국 시인인 Emily Dickinson(1830-1886)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시인인 Emily Dickinson은 살아 생전에 7편의 시를 발표한 시인으로 대표적으로 다작을 했다고 알려진 시인입니다. (당시엔 익명으로 발표되었다고 합니다.) 


고작 7편밖에 쓰지 않았는데 왜 다작의 시인이냐구요?


그녀는 사후에 더 유명해졌는데요. 부모님의 집에서 일생의 대부분을 보낸 그녀는 시를 쓰고 모아두기만 했다고 합니다. 

사후에 270편(!)이 넘는 시가 그녀의 작품으로 발견되었고 일부는 묶여져 출판되었습니다. 


Emily Dickinson은 미국 전시대를 통틀어서 가장 위대한 시인 중 한명으로 꼽힙니다. 그녀는 기존의 사조에 반하는 실험적인 작품들과 1인칭 시점의 persona를 구축한 시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Dickinson의 시에서 보통 화자들은 그들 사회의 피할 수 없는 한계점을 바라보는 예리한 시선을 가진 관찰자들입니다. 그들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탈출구들 역시 제시하곤 하는데요. 


i) 추상적인 것을 눈에 보이게끔 만들기 위해

ii) 사물들을 좁은 시야에 국한시키지 않고 정의내리기 위해

iii) 그녀가 내리 살던 집을 감옥으로 만들지 않기 위해서 


Dickinson은 그녀의 작품에서 유독 문장의 일부가 생략된 언어 형식을 사용합니다. 

당시 사람들은 생략된 언어 형식의 시가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는 깨닫진 못했지만 Dickinson은 시에서 이러한 형태도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했습니다. Dickinson의 시는 19세기 말엽부터 유명해지기 시작했는데, 그녀 사후 4년인 1890년 그녀의 첫 시집이 발간됩니다. 그리고 2년만에 11쇄를 찍어내는 대박 성과를 거둡니다. 


그러한 시 중에서 가장 유명하다고 알려진 J.67 <Success is counted sweetest>, 이 시는 그녀가 익명으로 발표한 7편의 시중에서 유일하게 「Brooklyn Daily Union 1864 edition」 에 인쇄되었습니다. (나머지 6편의 시들은 당시 저널이나 신문에 실렸다고 합니다.)


※ 번역은 주관적입니다. 해설은 일부 해외 사이트를 참조했습니다. 


J.67 

Success is counted sweetest

By those who ne'er succeed.

To comprehend a nectar

Requires sorest need.


Not one of all the purple host

Who took the flag to-day

Can tell the definition,

So clear, of victory,


As he, defeated, dying,

On whose forbidden ear

The distant strains of triumph

Break, agonized and clear. 


성공은 한번도 성공해본 적 없는 이들에게

가장 달콤한 것으로 여겨진다.

(달콤한) 넥타르를 이해하려면

쓰디쓴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날 깃발을 차지한

보라색 옷[각주:1]을 걸친 모든 이들이

승리의 개념에 대해, 명백하게,

정의내리지는 못한다


마치 패배하고 죽어가는 그의

금지된 귀 위로

멀리서 들려오는 승리의 선율이

고통스럽고 명백하게 부서진다.


1연에서 화자는 성공하기를 갈망하지만 성공하지 못한 이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신의 향연에 등장하는 술 "넥타르"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 


화자는 2연과 3연에서 승자들(purple host who took the flag to-day) 들이 패배하고 죽어가는 병사보다 승리에 대해 명확히 정의내리지 못한다고 말하고 있다. 전투에서 패배한 그 병사는 비록 전장의 승리가 무엇인지는 모를지언정 승리가 무엇인지 더 잘 알고 있다는 역설인데, 과연 그녀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일까?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해 더 갈망하곤 한다. 가령, 젊었을 때 스포츠카를 사고 싶지만 돈이 없는 경우, 비싼 레스토랑에서 여자친구와 근사한 식사를 하고 싶지만 여건이 되지 않는 경우, 대기업에 취직하고 싶지만 번번이 떨어질 때, 사람들은 더 나은 희망과 목표를 갈망한다. 


'To comprehend a nectar requires sorest need.' 


이 시에서 Dickinson의 인간 본성에 대한 정교한 이해가 잘 드러나고 있는 대목이다. 


즉, 원하는 걸 가지지 못한 사람들, 이루고 싶은 꿈을 이루지 못한 사람들, 이들은 그러한 성공을 갈망하고 열망하면서 실패를 경험한다. 실패를 경험한 사람들은 그들의 눈앞에서 아른거리는 성공이 얼마나 달콤한 꿀과 같은지 이해한다. 그들의 번번이 실패하게 만들지만 희망과 목표를 주기 때문일까. 

복잡한 인간의 필요에 대한 갈증을 어떻게 저렇게 짦은 문장 속에 집어넣을 수 있었을지 그녀의 표현력에 다시금 감탄할 뿐이다. 


혹시나 여기까지 다 읽고도 시간이 남는다면 아래 곡을 들으며 문학과 시를 함께 감상해보자. 


Sereno - Where I stand 



내가 서 있는 그곳


이곳은 마치 춤추고 화려한 곳 같지만


그렇게 화려하고 춤추는 곳만은 아니다.


발이 밟히기도 하고 넘어지라도 하면


비웃음을 사는 곳



내가 서 있는 그곳


그곳은 마치 춤추고 화려한 곳인 줄 알았다.


그렇게 화려해도 춤추는 곳만은 아니다. 


넘어지면 다시 일어날 수 없는 곳


다시 일어나려면 


비웃음을 사는 곳



네가 서 있는 그곳의


사람들은 이해못하는 이곳


하지만 이곳은


밟히고 넘어진 사람들을 위한 곳


다시 일어나며 


웃음이 사는 곳


by 써내린궤적




  1. purple host(보라색 옷을 걸친 사람들)은 royalty(귀족)을 상징하는데 역사적으로 purple(자주색)은 귀족들이 입을 수 있는 색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본문으로]

+ Recent posts